알려드립니다

무신사는 패션 소상공인 및 지역 상권과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2025.04.30

안녕하세요. 무신사입니다. 

최근 일부 매체에서 보도한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대해 무신사의 입장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광고 문구
1. 무신사가 단독으로 운영하는 오프라인 매장은 전국에 총 10개뿐입니다. 

편집숍 형태로 입점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는 무신사 스토어는 총 3개로 현재 홍대, 대구 동성로, 성수@대림창고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자체 브랜드로 전개하는 무신사 스탠다드 단독 매장은 총 7개로 홍대, 강남, 성수, 한남, 명동, 대구 동성로, 부산 서면 등에 있습니다. 나머지 매장은 모두 대형 유통사의 숍인숍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9CM가 단독으로 운영하는 오프라인 매장은 오는 6월 성수동에 오픈 예정인 이구홈 1개뿐입니다. 이 외에는 팝업 공간과 숍인숍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정 카테고리를 취급하는 편집샵 및 SPA 브랜드숍과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숫자이며, 이미 상권이 활성화되어 있는 강남과 홍대를 제외하고 대부분 쇠퇴하던 상권을 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참고] 버티컬 서비스 오프라인 매장 수 비교

구분 브랜드명 매장 수 기준 출처
패션 비이커 55개 ‘25년 3월 링크
에이랜드 10개 ‘25년 3월 링크
무신사 스토어 3개 ‘25년 3월 링크
뷰티 올리브영 1,371개 ‘25년 2월 링크
신발 ABC마트 337개 ‘24년 12월 링크
문구 아트박스 206개 ‘25년 3월 링크
라이프스타일 자주 250개 ‘25년 3월 링크
모던하우스 171개 ‘25년 3월 링크
무인양품 42개 ‘24년 12월 링크
SPA 탑텐 676개 ‘25년 3월 링크
유니클로 137개 ‘25년 3월 링크
스파오 166개 ‘25년 3월 링크
에잇세컨즈 80개 ‘25년 3월 링크
무신사 스탠다드 24개 ‘25년 3월 링크

※ 브랜드 순서는 매장 수 순으로 나열

광고 문구
‍2. 무신사는 대구 동성로, 부산 서면 등 쇠퇴하던 상권을 활성화 시키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무신사 스탠다드 동성로점은 2020년 4월 유니클로 동성로중앙점이 폐점한 이후 3년간 공실로 있었던 건물에 2023년 9월에 오픈하였습니다. 대구시는 동성로의 옛 명성을 되찾고자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해 왔고, 동성로상점가상인회 또한 무신사를 포함한 패션 잡화 브랜드의 동성로 진출에 대해 “동성로 거리가 예전처럼 활기를 되찾을 거란 기대가 크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출처: 참고 기사)  

그 결과 무신사는 요청을 수용해 여러 후보군 중에서 대구 동성로를 서울 외 첫 지방 매장으로 오픈하였습니다. 또한 무신사 스토어 대구는 매장 오픈 시 입점 되어 있는 200여 개 브랜드 중, 절반 이상을 대구 지역에 오프라인 매장이 없는 브랜드로 선별하여 소개하였습니다. 무신사를 즐겨 찾는 10~20대 고객들이 무신사 스토어 대구를 계기로 동성로에 더 많이 방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신사 스탠다드는 코로나 19 영향과 신흥 상권의 부상으로 활력을 잃었던 부산 서면에 두 번째 지방 매장을 출점하기도 하였습니다. 서면은 과거 부산을 대표하는 중심상업 지구로 번성하였으나, 주변에 대형 쇼핑몰과 백화점 등이 들어서면서 상권이 쇠퇴하고 정체성이 사라지고 있었습니다. 무신사 스탠다드 서면점이 오픈하면서 10~20대 젊은 고객의 유입이 확대되는 등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성로에는 이미 무신사 스토어 외에도 올리브영(5개), ABC 마트(3개) 등 다수의 카테고리 킬러 매장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에잇세컨즈, 스파오(2개), 탑텐, 자라, 지오다노 등 대부분의 SPA 브랜드가 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5월에는 유니클로 동성로점이 무신사 스탠다드 동성로점 맞은 편에 매장 오픈을 앞두고 있습니다. 

광고 문구
‍3. 29CM가 처음으로 개최한 문구 페어에 참여한 브랜드 중 75%가 소상공인입니다. 

29CM와 포인트오브뷰가 약 1년 반에 걸쳐 기획한 문구 페어는 20~40대 어른들을 위한 문방구를 콘셉트로 개최되었습니다. 학생들이 학교 교과에 필요한 학용품 보다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문구 용품을 경험할 수 있는 행사로 기획하여 69개의 브랜드가 참여하였는데, 이중 75%가 중소 문구 브랜드로 나타났습니다. 

만족도 조사 결과 이번 행사에 참여한 브랜드 중 97%가 브랜드 홍보 효과를 얻었다고 답했고, 53%가 신규 파트너십을 확대했다고 대답했습니다. 또한 관람객이 많고 관람객의 구매율이 높아 브랜드 홍보와 매출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방향의 코멘트를 다수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9CM는 문구 페어를 계기로 문구 브랜드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에게 또 다른 판로 개척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문구 브랜드 니즈를 반영해 쇼핑 관광객이 많은 성수동에 취향을 반영한 문구 브랜드외에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 상품을 소개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구홈 오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광고 문구
4. 무신사는 중소형 규모의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와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무신사는 중소형 규모의 패션 브랜드와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입점 브랜드의 성공이 곧 무신사의 성공’이라는 미션을 바탕으로 패션 업계에서 소상공인이 성장할 수 있는 인프라와 기회를 제공하고자 많은 비용과 인력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실제 무신사 입점사 중 거래액 1억 원 이상을 기록한 브랜드 중에서 글로벌과 대기업 계열 및 제도권 브랜드를 제외한 90% 정도가 연 거래액이 50억 원 미만의 소상공인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현행법에 따르면 의류 도·소매 판매업체 중에서 연 평균 매출액이 50억 원 이하일 경우 ‘소상공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무신사는 패션 분야에서 소상공인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투자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생산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 규모의 패션 브랜드를 위해 성장 단계별로 특성에 맞춰 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올해 말까지 6회에 걸쳐 약 10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광고 문구
5. 오프라인 매장 출점 시 더욱 신중을 기하겠습니다.  

무신사는 패션 업계를 이끄는 버티컬 플랫폼 기업으로서 매년 높은 목표를 가지고 성장을 지속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카테고리와 타깃을 확대하고, 오프라인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하고, 글로벌 진출을 시도하는 등 성장을 위한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앞으로 무신사 편집숍 출점은 무신사에 입점된 중소형 규모의 패션 브랜드가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하는데 초점을 맞춰 신중하게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무신사 편집숍은 글로벌 브랜드 중심으로 운영하는 멀티 브랜드 패션 스토어와 경쟁하고, 패션 소상공인도 대기업이 전개하는 해외 브랜드 사이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오프라인 사업을 전개하겠습니다. 

무신사 스탠다드는 2024년 3월 명동점 오픈 이후 단독 매장보다는 대형 유통사의 숍인숍 매장 진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오프라인 출점 시 신중을 기하고, 외국계 또는 대기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SPA 업계와 경쟁하여 성장세를 확보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신사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과 동시에 입점 브랜드의 성공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 쓴소리는 귀담아 듣고,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무신사가 패션 소상공인과의 동반성장을 통해 패션 업계의 발전에 동참할 수 있도록 많은 응원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공유하기